
이 책은 2003년 9월 프라하의 카를 대학교 번역학연구소가 ‘번역의 목표(Translation Targets)’라는 주제로 개최한 제10회 국제통번역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들로 엮은 책이다. 학술대회 기간 그리고 이후 번역학에서 핵심 분야로 떠오른 사회문화적 접근법들에 초점을 두어 논문을 선택했다. 이와 관련해 편집자들은 번역과 통역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특히 ‘지역사회 통역’ 혹은 ‘공공서비스 통역’ 영역에서 사회문화적 접근에 관한 놀라운 발전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순한 텍스트 통역보다 맥락에서의 권력관계가 더 중요한 의료기관, 이민자 구금소, 망명 심사 면접 등의 상황에서 통역사의 역할을 고찰한 논문들을 포함했다.
역자 이주연은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학사를,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뉴저지주립대학교에서 영어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13년 가을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조교수로 통역과 번역을 가르치고 있다. 번역서로는『앞서가는 일대일 마케팅 기업』(김영사),『똑같은 자식이라도 다른 사랑이 필요하다』(랜덤하우스코리아)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기업 브로셔, 국제기구 보고서, 각종 연설문 등 다양한 번역을 수행하였다. 또한 십여 년에 걸쳐 국제회의 통역사로 활발하게 활동하여 약 100회 가량 국제회의를 통역하였다. 통번역관련 주요 논문으로는“동시통역에서의 명시화와 함축화” 등이 있으며, 현재 연구 관심분야는 통역사와 이중언어 구사자의 정체성, 동시통역에서의 지시적 일관성 유지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