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검색

출판 도서
러시아 추콧카반도 원주민 축치족 신화
분류러시아문학
저자러시아 추콧카반도 원주민 축치족 신화
가격14000원
발행일20150325
총 페이지280
ISBN9788974649982
부가기호03890
도서 소개

축치족의 신화와 민담은 독자들에게 다분히 비논리적이고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구조적인 면에서는 오랜 세월에 걸쳐 구전되던 것을 보고라스가 20세기 초에 직접 채록한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내용면에서는 타민족의 신화나 민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민족에 대한 기본 지식이 필요하다. 이 책은 저자인 보고라스가 1900-1901년 추콧카반도 태평양 연안의 여러 마을에서 직접 축치어로 채록하여 영어로 번역, 출판한 e Jesub North Pacipic Expedition. Vol. VIII, Part I. “Chkchee Mythology”(New York, 1910)를 국역한 것이며, 번역 과정에서 축치어의 영어 음성표기 구조를 제시한 ‘축치 텍스트’ 부분 저자 서문(Introduction)은 생략했다. 이 책의 저자인 블라디미르 보고라스(, Waldemar Bogoras, 1865~1936)는 러시아 태생으로, 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재학 중 반정부 활동에 참여한 죄로 1889년부터 10년 간 러시아 북동지역 스례드녜콜리마로 유형에 처해졌으며, 그곳에서 민속학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연구 성과가 뛰어나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축치족 탐사대에 포함되어 1895-1897년에 축치족과 함께 생활하며 연구를 지속했다. 그 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의 청원 및 추천으로 조기에 유형을 마쳤고, 1899년부터 미국 자연사박물관에 초청되어 프란츠 보아스가 이끄는 제섭 탐사대 일원으로 태평양 북부 연안에서 민속학, 문화인류학, 고대사 연구를 수행했다. 그리고 1901년부터 1904년까지는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큐레이터로 일하기도 했다. 본 번역서의 저본은 바로 그 시기에 영문으로 출판되었다. 이 책에 수록된 신화와 민담의 주인인 축치족은 러시아 북동부 추콧카반도의 원주민으로 2010년 기준 인구 15,900명의 소수민족이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툰드라에서 순록을 유목하는 그룹과 개 사육 및 해양 동물 사냥을 생업으로 하는 해안 정주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순록 유목 그룹은 스스로를 ‘순록을 많이 가진 사람’이라는 의미의 ‘차우추’라고 불렀고, 해안 정주 그룹은 ‘바다 사람’이라는 의미의 ‘안칼른’이라고 불렀다. ‘축치’라는 민족 명칭은 주변 민족들이 그들을 부르던 ‘차우추’라는 명칭에서 기원된 것이고, 축치족은 스스로를 ‘진정한 사람’이라는 뜻의 ‘리그오 라베틀란’이라 불렀기에 1920년대 까지 러시아 공식문서에는 ‘라우라베틀란’이라고 기록되었다. 

작가 소개

러시아연구소의 역사는 1972년 1월 13일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와 공산권 국가들의 교류가 전혀 없었던 당시, 러시아연구소는 소련 및 사회주의 국가와 북한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고 자료를 조사, 분석, 검토하는 국내 유일한 연구소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북방정책으로 소련을 비롯해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과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본 연구소는 사회주의권 연구의 메카로 부상하였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어 독립국가연합(CIS)이 탄생하자, 연구소는 러시아를 비롯해 탈소비에트 공간에서 새롭게 형성된 15개 주권국가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전문연구소로 재탄생하였고, 1993년 러시아연구소로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였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사업자등록번호 : 759-82-00409 [사업자정보확인]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서울동대문-0000호    대표자 : 고윤성
(0245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로 107, 한국외국어대학교사이버관 1층 101호(이문동)
개인정보처리책임자 정정은 / boo_hufs@hufs.ac.kr
호스팅제공 카페24(주)
Copyright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02-0000-0000
평일 - 10:00 ~ 16:00 / 주말, 공휴일 휴무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