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힌디어 표준 교재 A1』은 2016년에 제정된 특수외국어교육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거, 2018년도부터 시작된 특수외국어교육진흥사업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교육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되었다. 『힌디어 표준 교재 A1』은 외국어를 막 배우기 시작한 학생을 위한 입문 과정으로 기초적 언어 사용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과마다 관련 주제 기본 표현을 위한 ‘대화 1’, ‘대화 2’, 필수 단어 및 힌디어 기초 지식을 위한 ‘어휘’와 ‘문법’, 어휘 및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문형 이해하기’,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인도와 인도 사람들에 대한 이해, 즉 문화소통 능력 함양을 위해 각 과의 주제와 연동한 ‘문화 이해’도 함께 집필되었다. 힌디어 표준 교재는 문법 지식이 아닌 단계별 의사소통을 우선적인 학습목표로 삼아 집필되었다. 따라서 주제, 어휘, 문법, 기능, 상황 등의 선정 및 배열에서 일반 힌디어 교육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힌디어 표준교육 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본 교재를 통해 힌디어 전공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표준화된 양질의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최종찬(崔鍾讚)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과를 졸업했다. 인도 델리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힌디어 분사의 특성과 제약>, <빠니니의 격이론>, <바르뜨리하리의 자띠사뭇데샤>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인도 바로보기(공저)>, <힌디어초급문법(공저)> 등이 있다.
김용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과를 졸업하고, 인도 델리대학교에서 힌디어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바르뗀두의 히곡 「바라뜨두르다샤」의 알레고리 연구>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힌디어초급문법 (공저)>가 있다.
이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힌디문학으로 문학석사, 인도 University of Delhi에서 M.A. Sanskrit, M,Phil Comparative Indian Literature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