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곽중철 교수가 이 나라 1세대 통역사로 30년이 넘는 통역실무와 10년이 넘는 후학양성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부에서 대학원까지 통역에 입문하는 학생들을 위해 공개하는 통역 강의록이다. 통역이란 무엇인가를 학부생의 눈높이에 맞춰 파헤치되, 통역은 단순한 언어의 유희가 아님을 보여주기 위해 통역의 대상이 되는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을 쉽게 풀이한다. 내용은 필자가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에서 다뤘던 연설 중 요점만을 골라 중점적으로 해설한다. 우리나라에는 2008년부터 지역사회 통역(community interpreting)이 시작되고 있다. 국내 거주 외국인의 수가 150만에 육박하는 글로벌 시대에 그들을 위한 법정 및 의료 통역을 위한 교육도 시행되고 있다. 특히 2009년부터는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매년 의료통역사 양성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통번역대학원에서 가르쳐온 것이 회의통역(conference interpreting) 이었다면 이제 일상에 더 가까운 통역을 위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회의 통역이 연사의 독백(monologue)에 대한 통역이라면 지역사회 통역은 용의자와 법관, 환자와 의료진의 대화(dialogue)의 통역이다. 이제는 학부 통역학과나 통역대학원 차원에서 법정 및 의료통역을 교육할 수도 있다. 이 책을 교재로 공부하기 전, 명심해야 할 점이 몇 가지 있다. 첫째, 통역에서도 어학 실력의 기본이 가장 중요하다. 모국어와 전공외국어에 대한 일정 수준의 기본 실력이 없이는 결코 통역을 할 수 없다. 탄탄한 문법 실력이 그중 하나이다. 둘째, 여러 분야에 대해 아는 것이 많고, 관련 경험이 많을수록 통역의 질이 높아짐을 깨달아야 한다. 세분화되고 더욱 심층화된 최첨단 분야는 내용을 모르면 애당초 통역이 불가능하다. 특히 현대는 정보기술(IT)을 모르고는 첨단분야의 통역을 해낼 수가 없다. IT 관련 지식뿐 아니라 IT 관련 기기를 직접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이 통번역에도 유리한 시대다. 결론적으로 통역이란 탄탄한 어학적 기초와 상식과 전문지식을 나란히 쌓아야 하는 공부다. 어학 실력을 튼튼히 하고, 각 분야를 깊이 공부하며, 많은 직·간접 경험을 쌓는 부지런한 사람이 되어야 훌륭한 통역도 할 수 있음을 명심하자.
곽중철
한국외대 영어과 졸업
한국외대 통역대학원 졸업
파리 3대학 통번역대학원(ESIT) 졸업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졸업
경희대 언론학 박사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 통역안내과장/ 체육훈장 백마장
국제회의통역사협회(AIIC) 정회원
대통령 공보비서관/ 홍조근정 훈장
YTN국제부장/위성통역 팀장
13대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장
(사)한국통번역사협회(KATI) 창립이사
현재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교수
홈페이지: www.jckwak.net
저서
[통역이야기-남의 말을 내말처럼]
[CNN리스닝]
[통역 101]
[통역사 만들기]
[CNN직청직해로 끝낸다]
역서
[저작권법에 관한 101가지 질문]
[TV와 영화 산업의 계약- 대본부터 배급까지]
[의료통역 입문]
[법률통번역 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