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법총론은 상법의 개념, 지위, 특성, 역사, 법원, 효력 등을 전반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상법에 입문하는 초학도들에게 상법학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묘미를 알게 하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법총칙 · 상행위편의 규정들을 잘 관찰하고 음미하여 보면 그 내용이 상당히 체계적이고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것들을 잘 응용하면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나침반으로 삼을 삶의 지혜가 될 내용들을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본서는 새롭게 개정된 「상법총칙 · 상행위편」을 상법전의 체계에 따라 해설한 것이다. 본서를 집필하면서 특별히 주안점을 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 11월 15일부터 새로 시행되고 있는 개정 「상법총칙 ? 상행위편」의 전 부분에 걸쳐 개정된 내용과 새롭게 도입된 부분을 빠짐없이 수록하였다. 둘째, 「상법총칙 ? 상행위편」의 각 조문의 뜻을 충실히 파악하여 쉽고도 간명한 해설을 시도하되 체계의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셋째, 학설의 대립이 있거나 판례의 인용이 필요한 부분은 빠짐없이 서술하려고 노력하였고 주로 다수설의 입장에서 해설하였다. 넷째, 상세한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본문 중에 별도의 지면을 할애하여 정리하였다. 다섯째, ‘상법총칙 ? 상행위편의 주요개정 내용 및 쟁점’과 ‘상법총칙 ? 상행위법 전문’을 부록으로 추가하여 독자들이 개정내용의 핵심 부분과 법조문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과 졸업(법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 수료(법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수료(법학박사)
국립 강원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 비교법학연구소장 역임
미국 Univ. of Washington, Law School 교환교수
미국 Univ. of Pittsburgh, Law School 교환교수
Lee International IP & LAW GROUP 법률고문
사법시험?군법무관시험?외무고시?입법고시위원 역임
한국상사법학회 회장
한국경영법률학회 회장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교학처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외협력본부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주요저서
기업지배구조법 강의: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상법판례강의: 법문사
상법학강의: 법문사
상법사례연습: 박영사
상법사례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법학통론(개정신판): 세창출판사(공저)
주석상법(Ⅳ,Ⅴ,Ⅵ)): 한국사법행정학회(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