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회사의 지배구조는 주주 경영자 채권자 근로자 소비자 지역주민 등 기업의 이해관계자들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메커니즘, 즉 각 집단의 권한, 책임 등을 규율하는 제도적 장치와 운영체계를 말한다. 오늘날 기업지배구조는 현대기업의 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전세계의 투자자, 정부, 그리고 규제기관들의 최우선적인 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기업지배구조가 가장 이상적인 방향으로 정립되어 잘 다듬어지고 보완된다면 기업경영을 둘러싼 분쟁과 어려움도 해소되고 기업법이 원래 의도한 방향에 맞춰 경영과 관련된 모든 문제들이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과 졸업(법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 수료(법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수료(법학박사)
국립 강원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 비교법학연구소장 역임
미국 Univ. of Washington, Law School 교환교수
미국 Univ. of Pittsburgh, Law School 교환교수
Lee International IP & LAW GROUP 법률고문
사법시험?군법무관시험?외무고시?입법고시위원 역임
한국상사법학회 회장
한국경영법률학회 회장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교학처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외협력본부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주요저서
기업지배구조법 강의: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상법판례강의: 법문사
상법학강의: 법문사
상법사례연습: 박영사
상법사례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법학통론(개정신판): 세창출판사(공저)
주석상법(Ⅳ,Ⅴ,Ⅵ)): 한국사법행정학회(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