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TV, 인터넷, 전화, 라디오, 잡지, 신문과 같은 미디어를 매일 접하고 있다-그러나 그것은 빙산의 일각이다. 우리가 무인도에 살지 않는다면 어떤 종류의 미디어든, 우리는 미디어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오늘날의 이 모든 것을 아우르는 미디어 문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이 책은 미디어 연구의 모든 중요한 문제와 논쟁을 생생하고 접근 가능한 방법으로 다루고 있다. 세계 미디어 기업의 주요한 특징과 미디어 효과, 소비자 파워, 유명인사, 저널리즘과 뉴미디어에 대한 접근법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 또한 독자는 도덕적 패닉, 장르에서 성별까지, 정치 경제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모든 미디어 문제에 대한 지적인 탐색을 하게 될 것이다. 당신이 학생, 연구자 혹은 일반적인 흥미를 갖고 있는 누구든지 간에, 미디어 연구는 복잡하지만 매혹적인 주제를 탐색하는데 유용하고 간편한 가이드북이 될 것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대학원에서 ?English causal complex prepositions: A grammaticalization perspective? 논문으로 영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세미오시스연구센터에서 HK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Negotiating common ground in discourse: a diachronic and discourse analysis of ? maliya?(2013),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SAY’ evidentials and their extended pragmatic function?(2014), ?Evidentiality in interaction: A pragmatic analysis of Korean hearsay evidential markers?(2015), ?Emotion in interaction: A diachronic and pragmatic analysis of the sentence-final particle -tani in Korean?(2016)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Emergence of Causality in Grammar??(2009), ??Semiosis of African American Religion??(201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