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교재의 가장 큰 특징은 주요 문형을 상황별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것입니다. 16과로 구성된 이 교재의 각 과는 두 단계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학습목표’에 따라 문형중심의 ‘대화문(본문)’과 ‘어휘’, ‘문법’을 공부합니다. ‘대화문(본문)’은 인도인의 의식과 인도 사회, 문화의 특성이 반영되고 실용적인 회화체를 토대로 하고 있습니다. ‘어휘’에서 단어의 같은 뜻은 숨표(,)로, 다른 말뜻이나 품사는 콜론(;)으로 표시하여 가능한 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아랍-페르시아어에서 온 어휘에 정확하게 눅따를 표시하여 힌디어뿐만 아니라 우르두어에 대한 접근도 수월하게 하였습니다. ‘문법’에서는 힌디어의 특성을 간략하면서도 명확하게 설명하려고 했으며 어휘나 문장에서 여성 표시를 *로 하였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주요 문장 10개를 선별하여 ‘듣기’, ‘쓰기’, ‘연습’에서 그 문형을 반복적으로 듣고, 쓰고, 문장 전환을 연습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하였습니다. ‘회화 테스트’에서는 앞에서 익힌 문형을 말하여 봄으로써 구사력을 확보하도록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단원평가’에서 각 과의 내용을 다시 한 번 전 체적으로 파악하도록 하였으며, 이것은 FLEX 듣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부록으로 힌디어 학습의 탄탄한 토대를 제공하기 위해 ‘힌디어 VOCA 800’을 수록하였습니다. ‘대화문(본문)’에 나온 어휘는 남색, ‘문법’이나 ‘연습’에 나온 어휘는 주황색, 그리고 책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국립국어연구원에서 2003년 5월에 발표한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 빈도 순위와 인도의 문화적 특징을 염두에 두어 선별한 주요 어휘 190여 개는 초록색으로 어휘 800개를 구별하였습니다.
김우조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과를 1회 졸업하고 국립힌디어연구소(델리)에서 Advanced Diploma in Language Proficiency, 힌디어문학으로 인도 네루대학교에서 문학석사, 인도 Visva Bharati 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는 『한국어-힌디어사전』(책임편찬), 『힌디어 입문』, 『힌디어 여행회화』, 『입에서 톡 인도어』, 『인도의 종파주의』(공저), 『한국시선집』(힌디어), 『인도여성-신화와 현실』(공저), 『인도 낭만주의 시에 나타난 민족의식』(힌디어), 『인도 중-단편소설선』(편역) 등이 있으며, “인도와 한국의 낭만주의 시 비교”, “힌디의 수피문학”, “힌디소설문학에 나타난 힌두-무슬림 갈등”, “『마이』(어머니)에 나타난 여성성”, “두밀의 시세계” 외 인도문학과 문화 관련 논문이 다수 있다.
이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힌디문학으로 문학석사, 인도 University of Delhi에서 M.A. Sanskrit, M,Phil Comparative Indian Literature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