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사전은 2006년 출판된 한국어-러시아어사전의 개정판으로서 초판에서의 오류를 모두 수정하고 오탈자를 바로 잡았다. 한국어에서 활용도가 높고 밀도 있는 표제어를 중심으로 전문용어, 신조어, 빈도 높은 외래어, 동의?동음어를 엄선하여 10만 어휘를 표제어로 삼았으며 아울러 정확하고 충실한 어휘의 분류와 함께 풍부한 용례와 다양한 파생어를 수록하였다. 또한 전문분야별 새 어의를 포괄하였으며 컴퓨터 및 정보 분야의 전문용어와 기초문법 및 세계 각국의 지명(수도), 공용어, 화폐 등 부록의 실용성을 확대한 한국어-러시아어 전문 어휘 사전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졸업 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교수로서 한국음운론학회 회장, 한국슬라브학회 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한국-사하친선협회 회장, 사하공화국 동북연방대학교(구 야쿠츠크국립대학교) 명예교수, 야쿠츠크시 사하-한국학교 설립자로서 한국과 러시아 사하공화국 간의 민간 친선교류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러시아어사, 음운론, 형태론 분야를 전공하였으며, 관련 저서로는 ‘노어음성학’, ‘러시아어사’, ‘러시아어 문장의 이해’, ‘한-러사전’, ‘파워 러시아어 문법’, ‘뉴파워 러시아어’, ‘러시아어 발음과 구조’ 등이 있다. 또한 논문으로는 "러시아어 음절 구조와 음절 구분 조건", "러시아어 무인칭문의 의미적 특성", “러시아어 차용어 분석을 통한 야쿠트어 음절구조와 모음조화 연구” 등이 있다. 최근에는 시베리아 원주민 언어인 야쿠트어와 에벤키어에 관심을 가지고, 계통론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와 비교 연구를 하고 있다.
캔자스 대학 문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교수·러시아연구소 소장
김현택 교수는 미국 University of Kansas에서 20세기 러시아 문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러시아 문학 및 문화 관련 과목을 강의하면서『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문화로 읽는 오늘의 러시아』, 샬라모프의『콜리마 이야기』- “새로운 산문”의 탄생 - 등 여러 단행본과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계 러시아 작가 아나톨리 김과 공동으로『춘향전』을 러시아어로 번역 출간했으며, 최근에는 『한국 한시선』러시아어 판을 현지 출간하여 많은 관심을 얻기도 했다. 2010년 러시아 정부가 수여하는 ‘푸시킨 메달’을 받았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소장 직을 맡고 있다.방교영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통번역대학원 석사 및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G20 같은 정상회담 및 국제회의 전문통역사로 활동하였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장 및 통번역대학원 원장을 역임하였으며 대외적으로 BBB korea 러시아어 위원장, 모스크바국립대학교 통번역학학술지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또한 의료통역 분야에서 한국보건복지개발원 의료통역사 전문의료과정 러시아어 책임교수, 한국보건복지개발원 강사심화과정 러시아어 책임교수를 역임하고 있으며 의료통역실기 표준교재, 의료통역 국제 시나리오, 의료용어사전 등을 제작하였다.추석훈(Чу Сок Хун)
·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교수
· Профессор кафедры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и литературы Университета иностранных языков Ханкук
· 주요 관심 분야: 슬라브어 형태론, 통사론, 역사언어학, 교수법
· Научные интересы: морфология и синтаксис славянских языков, историческое языкознание, методика преподавание
홍완석 교수는 러시아 모스크바국립국제관계대학교(MGIMO)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상해복단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러시아·CIS학과 주임교수와 러시아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한국정치학회 무임소이사, 한국슬라브학회 연구이사, 동유럽발칸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주요저서로는『러시아연방 인문공간의 이해Ⅰ, II』(편저: 한국외대출판부, 2010-2011), 『러시아, 위대한 강대국 재현을 향한 여정』(공저: 한국외대출판부, 2009), 『21세기 한국 왜 러시아인가?』(삼성경제연구소, 2005), 『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편저: 한울아카데미, 2005),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2010』(편저: 한국외대출판부, 201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