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어 연습"은 문법 · 작문 · 강독의 "베트남어(1, 2, 3)”와 "베트남어 회화(1, 2, 3)”에 이어 쓰였다. "베트남어 연습"은 “베트남어”와 “베트남어 회화” 교재를 배운 학습자의 베트남어 연습을 위해 집필되었다. 이처럼 체계화된 베트남어 학습을 목표로 쓰인 교재는 국내외에 아직 없다. 이 과정을 거친 학습자는 베트남 현지에서 베트남어 실습을 하면 된다. 물론 베트남어 실습은 여건이 마련된다면 국내외의 어디든 가능하다. "베트남어 연습” 역시 "베트남어 연습 1", "베트남어 연습 2", "베트남어 연습 3”의 형태로 집필되었다. 초급, 중급, 고급 과정의 형태로 구성된 "베트남어 연습"은 한국과 베트남에서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수십 년간 베트남어와 베트남학을 연구하며 강의하고 있는 교수들이 집필하였다. 이 교재는 해당 과에서 알아둬야 할 문장, 회화, 상황을 가정한 회화 연습, 내용 이해를 점검하기 위한 연습문제, 독해 등으로 구성되었다. 학습자의 더욱 빠른 현실감각을 촉발하기 위해 많은 삽화를 삽입하였다. 교재의 마지막 부분에는 학습자의 연습문제 풀이 확인을 위한 답안을 넣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베트남어과를 졸업하고 베트남 하노이국가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사학과에서 역사학 박사학위(1996)를 취득하였다. 저서로는『베트남의 역사』,『베트남의 토지제도』등이, 공저로는『베트남』,『동남아의 종교와 국가』등이, 논문으로는「19세기 초 베트남 남부의 토지제도」,「프랑스 식민지하의 남베트남 토지제도」,「베트남 딩에 관한 연구」,「베트남 토지개혁에 관한 연구」등이 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베트남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베트남어 연습 1>, <베트남어 연습 2>, <베트남어 연습 3> 저자